이사가기전 해야할 일

이사가기전 해야할 일 A to Z 완벽정리 (전입신고, 관리비)

오늘은 이사가기전 해야할 일을 하나부터 열까지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이사가기 전이라면 업체도 선정해야 하고, 청소도 계획해야 하며 관리비 정산부터 전입신고, 자녀가 있을 경우 전학까지 신경 쓸 게 많습니다.

하나라도 빼놓으면 지장이 생기는 경우가 많으므로 아래 내용을 참고해서 잘 준비해 보시기 바랍니다.

▼▼▼

[이사 전 과정 체크리스트]

1. 이사할 집 상태 점검

많은 분들이 대충하고 넘기는 게 있습니다. 바로 이사할 집 상태를 꼼꼼하게 점검하는 것입니다.

☑️점검 방법

창문과 문 작동 확인

  • 방문하여 창문과 문이 정상적으로 여닫히는지 체크합니다.
  • 문이 덜컹거리거나 창문이 단단히 잠기지 않는다면, 이사 전 수리를 요청하세요.

벽지, 바닥, 배관 점검

  • 벽지의 곰팡이, 들뜸 여부 확인
  • 바닥 스크래치, 장판 손상 체크
  • 싱크대 및 욕실 배수 상태 테스트 (물이 빠지는 속도 확인)

가구·가전 배치 공간 체크

  • 줄자를 이용해 냉장고, 세탁기, 침대 등의 배치 공간을 측정
  • 전기 콘센트 위치 확인 후 멀티탭 필요 여부 검토
  • 가구 도면을 미리 그려 배치를 계획하면 이사 당일 당황하지 않습니다.

관리사무소 문의 (아파트/오피스텔의 경우)

  • 엘리베이터 사용 예약
  • 주차 공간 확인 (이삿짐 차량 주차 가능 여부)
  • 관리비 정산 방법 확인

2. 이사 업체 예약하기

이사 날짜가 정해졌다면 이삿짐 업체, 청소 업체를 예약해야 합니다.

이사 날짜 정하는 방법 >>

특히 고객 평가가 좋고 인기가 있는 곳들은 예약하기가 어려울 수 있으니, 최소 한 달 전에는 예약을 마치시기 바랍니다.

☑️ 이사 업체 선택 방법

항상 강조하는 것이지만 최소 3곳 이상 견적을 비교해 보는 게 좋습니다. 특히 방문 견적을 요청하면 짐 사이즈를 보고 가격을 거의 확정해 주기 때문에 많은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바로 견적을 받아볼 수 있는 업체를 3곳 선별했습니다.

[이사견적]

업체명견적 요청하는 법
다이사바로 요청하기
모두이사바로 요청하기
이사타임바로 요청하기

[청소견적]

업체명견적 요청하는 법
24번가 입주청소바로 요청하기
모두클린바로 요청하기
서경석의 이사방바로 요청하기

3. 도시가스 전입·전출 신청

이사를 하게 되면 기존 집에서 사용하던 도시가스를 해지(전출)해야 하고, 새로운 집에서는 도시가스를 개통(전입)해야 합니다.

이를 제때 신청하지 않으면 이사 당일 가스를 사용하지 못할 수도 있으므로 반드시 사전에 예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천하는 시기

  • 전출 신청: 이사 날짜 2주 전부터 예약 가능 (최소 이사 3~5일 전에는 신청해야 함)
  • 전입 신청: 이사 날짜 확정 후 2주 전부터 예약 가능 (이사 당일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미리 신청)
  • 방문 점검 예약 필수: 가스 점검 기사가 방문하여 점검 및 개통해야 함

1) 전화 신청 방법

각 지역별 도시가스 회사의 고객센터에 전화를 걸어 전입·전출 예약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주요 도시가스 회사 고객센터 전화번호

도시가스사지역고객센터 전화번호
서울도시가스서울, 경기 일부1588-5788
인천도시가스인천1666-0009
대성도시가스대구, 경북1577-1190
부산도시가스부산1544-0009
코원에너지경기 일부, 강원1666-0002
경동도시가스강원, 경기 일부1588-1144
전남도시가스전남1666-0009

2) 온라인 신청

대부분의 도시가스 회사는 온라인에서도 전입·전출 신청을 받습니다. 해당 도시가스 회사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 접속하여 ‘전입·전출 신청’을 선택하면 됩니다.

*추가적으로 일부 도시가스 회사는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서 간편하게 전입 및 전출 신청이 가능합니다.

4. 인터넷·TV 이전 신청

*추천하는 시기

  • 최소 2주 전 신청하는 것이 가장 좋음 (늦어도 이사 5일 전까지 신청)
  • 설치 기사 방문 일정은 이사 당일 또는 다음날로 예약하는 것이 이상적
  • 특정 요금제 변경, 약정 연장 조건 등을 확인해야 함

1) 고객센터 전화 신청

📞 주요 인터넷·TV 통신사 고객센터 전화번호

통신사고객센터 전화번호
KT 인터넷·TV100
SK브로드밴드 (BTV)106
LG U+ 인터넷·TV101
KT 스카이라이프1588-3002
딜라이브 (구 CJ헬로비전)1877-7000
현대HCN1877-8000
CMB 케이블1644-3434

2) 온라인 신청

📌 온라인 신청 방법

통신사고객센터 홈페이지
KT 인터넷·TV(https://m.help.kt.com/)
SK브로드밴드 (BTV)(https://www.bworld.co.kr)
LG U+ 인터넷·TV(https://www.lguplus.com/support/)
KT 스카이라이프(https://m.skylife.co.kr/center/)
딜라이브 (구 CJ헬로비전)(https://www.dlive.kr/front/helpdesk/)
현대HCN(https://www.hcn.co.kr/www/support/)
CMB 케이블(https://www.cmb.co.kr/kwa-275178)

간단한 이사 인터넷 이전 방법 >>

5. 우편물 주소 변경 신청

기존 주소로 중요한 우편물이 가능 경우가 없도록 주소 변경을 신청해야 합니다.

이사가기전 준비 우편물

주거이전 우편물 전송서비스를 이용하면 3개월 동안 무료로 변경된 주소에서 우편물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거이전 우편물 전송서비스 >>

*특히 은행이나 보험사, 통신사, 쇼핑몰, 배달 서비스 등의 주소를 이전하는 것을 잊지 마세요.

6. 이사가기전 전입신고

이사 후 14일 이내에 전입신고를 완료해야 합니다. 미신고 시 과태료(최대 5만 원)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이사가기 전에 전입신고를 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일부 지역에서는 사전 신고가 가능한 곳이 있으니 미리 하고 싶다면 주민센터에 문의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전입신고 하는 방법 >>

7. 학교 전학 (자녀가 있을 경우)

자녀가 있다면 이사 과정에서 전학 절차 또한 빠트릴 수 없는 중요한 준비입니다. 특히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각 학교급에 따라 전학 절차가 다르므로, 미리 준비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전학 과정에서 필요한 서류는 학교급마다 조금씩 다르므로, 정확한 절차를 숙지하고 진행하면 혼란 없이 전학이 가능합니다.

초등학교 전학 방법

초등학생 자녀가 있는 경우, 이사 후 반드시 전입신고를 하면서 발급받게 되는 취학아동 전입통지서를 통해 새로 다닐 학교로 전학합니다.

📌 전학 진행 방법

이사 후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전입신고를 진행하면, 즉시 취학아동 전입통지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발급받은 취학아동 전입통지서를 새로 입학할 초등학교에 제출하면 전학 절차가 완료됩니다.

*가능하면 이사 후 1주일 이내에 처리하는 것이 좋으며, 늦어지면 학습 공백이 생길 수 있으니 미리 진행하세요.

중학교 전학 방법

중학생의 경우 초등학교와 달리, 학교에서 직접 재학증명서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현재 다니고 있는 중학교 행정실에 방문하거나, 전화하여 전학용 재학증명서를 발급 요청합니다.

(보통 당일 발급 가능) 발급받은 재학증명서와 함께 전입신고 후 받은 주민등록등본을 가지고, 이사하는 지역의 교육청을 방문합니다.

교육청에서 지정받은 전학 가능 학교 중 원하는 학교를 선택하면, 교육청에서 전학 처리를 진행합니다. 전학 허가가 나오면, 지정된 날짜에 새 학교에 등교하면 됩니다.

고등학교 전학 방법

고등학교 전학은 중학교보다 조금 더 절차가 까다롭습니다. 사전에 필요한 서류를 미리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먼저, 이사 후 전입신고를 완료합니다.
  • 이후 가까운 주민센터에서 주민등록등본을 발급받습니다.
  • 발급받은 주민등록등본을 가지고 이사한 지역의 교육지원청을 방문하여 전학 신청서를 제출합니다.
  • 교육청에서 전학 가능 여부를 확인한 후, 전학이 결정되면 새로 배정된 학교로 안내해 줍니다.
  • 이후 새 학교에 방문해 등록 절차를 완료하고, 등교 날짜를 안내받으면 됩니다.

*고등학교는 학년 및 지역에 따라 전학이 제한될 수 있으므로, 미리 교육청에 전화하여 전학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사가기전 해야할 일 마무리

이사가기 전에 할 일이 너무 많다고 느껴질 수 있습니다. 그럴 때는 체크리스트를 다운로드 받아서, 하나씩 체크하면서 이행해 보세요.

이사 체크리스트 다운로드 >>

자주 묻는 질문 FAQ

1. 이사가기전 밥솥을 먼저 들고 가는 이유가 뭔가요?

다른 물건 보다 쌀을 절반 이상 채운 밥솥을 먼저 들고 가면 거주하는 동안 풍족하게 먹고 살 수 있다는(재물이 따르게 된다는) 미신이 있습니다.

2. 이사가기전 관리비 정산은 어떻게 하나요?

이사 날짜까지의 사용 요금을 관리사무소 또는 개별 공과금 업체(수도, 전기, 가스)에서 확인 후 납부하면 됩니다.

Leave a Comment